달력

82025  이전 다음

  • 1
  • 2
  • 3
  • 4
  • 5
  • 6
  • 7
  • 8
  • 9
  • 10
  • 11
  • 12
  • 13
  • 14
  • 15
  • 16
  • 17
  • 18
  • 19
  • 20
  • 21
  • 22
  • 23
  • 24
  • 25
  • 26
  • 27
  • 28
  • 29
  • 30
  • 31

Xgl demo

Computer/Linux.Unix 2006. 9. 21. 19:52



Posted by TIGER™
|


Xgl on Fedora core5 + nvidia

■ Configuring Yum
Here's how to configure your yum:
1. Open a Terminal.
2. Become root:
  #su root
3. Run these commands to remove your yum.conf file and replace it with a fresh one (Updated 1 May 2006):
  #cd /etc
  #mv -f yum.conf yum.conf.bak
  #wget
http://www.fedorafaq.org/samples/yum.conf
4. Now, install my yum configuration (Updated 9 May 2006), using this command:
  #rpm -Uvh
http://www.fedorafaq.org/yum http://rpm.livna.org/livna-release-5.rpm
■ Install 3D driver [nvidia]
#su root
#yum install kmod-nvidia or (dual core) yum install kmod-nvidia-smp
#sesebool -p allow_execmod=1
#init 3 (?)  (shutdown X)
#nvidia-cofig-display enable
#shutdown -r now  (restart)
if you have ATI
http://www.fedorafaq.org/#radeon

■ Install Xgl on FEDORA core5
▶[Package list to install]
compiz OR compiz-quinn
xorg-x11-server-Xgl
fedora-xgl-settings
gset-compiz
xgl-hardware-list
glitz
libsvg-cairo
libsvg
#su root
-Install Fedora Xgl Repository
#rpm -Uvh
http://fedoraxgl.tuxfamily.org/repository/fedora-xgl-repository-1.0-3.noarch.rpm
-Import GPG Key
#rpm --import /etc/pki/rpm-gpg/RPM-GPG-KEY-AL-CAPCOM
-Install Xgl and Compiz packages
# yum --enablerepo=fedora-xgl install compiz xorg-x11-server-Xgl
// Result of this Command: Package xorg-x11-server-Xgl-1.1.99.1-3.i386.rpm is not signed Installation Failed :(May
try cd /var/cache/yum/fedora-xgl/packages rpm -ivh * (actually may need to rpm -ivh one by one...)
Just to get you by change in /etc/yum.repos.d/fedora-xgl.repo gpgcheck=1 to gpgcheck=0
Run the yum command above again. //
[modifier]
▶[Configure the system]
-Check your system capability
#gnome-xgl-info
" G nVidia Corporation
  1 kmod-nvidia is installed for the kernel release 1.2111_FC5
  1 -accel glx:pbuffer -accel xv "
//
First line is:
CardStatus [CardName]
where CardStatus is: G(ood), B(ad), S(low), or U(nknown)
Second line is:
3DStatus [Missing or installed Packages]
where 3DStatus is 0 or 1
Third line is:
XglStatus [RecommendedOptions]
where XglStatus is 0 or 1 and RecommendedOptions is set if the hardware is detected as compatible.
//

-Enable Xgl
#gnome-xgl-switch --enable-xgl --auto
-Configure Compiz
#gset-comp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  By.tigerks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mung's world


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
reference
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
http://fedoraxgl.tuxfamily.org/index.php?title=Installation_en
http://www.fedorafaq.org/#nvidia
http://fedora-xgl.blogspot.com/
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


Posted by TIGER™
|


FlyKiteOSX 3.5를 깔았다.
파일은 http://osx.portraitofakite.com/ 여기서 받으면 된다.
윈도 시작표시줄은 왼쪽으로 보내서 자동숨김하면 완전한 OSX tiger로 변신 ^^
dock이 아래에 생기고 아이콘과 테마가 다 바뀐다.
윈도는 사용해야 하고 MAC의 아이콘은 부러운 사람은 깔아보삼


Posted by TIGER™
|


http://www.google.com/analytics/

▶ 로그인 화면

▶ 홈페이지 분석내용
[ 지도를 보면 어느나라에서 많이 접속하는지도 알수있다]

Posted by TIGER™
|


처음엔 안되다가 몇개 수정하니까 잘되네요 ㅎ
우선
/owner/entry/draft/item.php
/owner/entry/update/item.php
에서 48번째줄의  $str=preg_replace('/</?iframe.*?>/si','',$str); 삭제

그다음 /plugin/NGMap_Link/config.php에서
google과 naver의 API를 자기 사이트 등록후
받아서 고쳐준다.

그리고 UTF-8 로 되어있는 apache2 의 경우
EUC-KR 로 php가 만들어져 있으므로 깨지더군요.
그래서 제가 ㅎㅎ UTF-8로 인코딩 바꾸고 깨진글씨
다시 적어넣으니까 잘 되네요^^
NGMap_tt.php 만 바꾸면 됩니다.
파일받기 :


Posted by TIGER™
|


#sudo passwd root  [패스워드 생성]

#sudo vi /etc/gdm/gdm.conf
allowRoot = true

#sudo vi /etc/ssh/sshd_config
PermitRootLogin yes

# /etc/init.d/ssh restart



※ root가 생성된후 ubuntu에서 root 전환
#sudo -s

Posted by TIGER™
|

find 명령어

Computer/Linux.Unix 2006. 9. 13. 01:55


find [ path ] [option] [ work ]

>> option
-name : 지정된 이름을 찾음
-type : 지정된 형식을 찾음
-size : 지정된 크기의 파일을 찾음

ex># find . -name apache -print

Posted by TIGER™
|


$ vi /etc/ssh/sshd_config  
  # port 22 부분을 수정 ->> port xxxx (# 제거 ex] port 2345)
$ /etc/init.d/sshd restart    [재시작]

Posted by TIGER™
|


# vi /etc/apache2/apache2.conf
AddDefaultCharset euckr 로 변경

Posted by TIGER™
|


# sudo vim /etc/environment
PATH="/usr/local/sbin:/usr/local/bin:/usr/sbin:/usr/bin:/sbin:/bin:/usr/bin/X11:/usr/games"
LANG="ko_KR.UTF-8"
LANG="ko_KR.EUC-KR"        추가해줌
LANGUAGE="ko_KR:ko:en_GB:en"

Posted by TIGER™
|


# vi /etc/ssh/sshd_config
※포트 변경
포트 22 → 변경 하고싶은 포트  (빈포트 확인 해야함)

※ root 접속 막기
PermitRootLogin yes → no

# /etc/init.d/ssh restart

Posted by TIGER™
|


- 패키지 인덱스 업데이트
# sudo apt-get update

- 패키지 업그레이드
# sudo apt-get upgrade
 

Posted by TIGER™
|


콘솔에서 yum update하여 목록을 update 한후
yum upgrade로 업그레이드 해주면 된다.


# yum update
 
# yum upgrade

Posted by TIGER™
|


XP에 하도 많은걸 깔다보니 상태가 안좋아서 포맷하면서
MAC OS X 10.4.4 DVD pached 를 깔았다 ㅎㅎ
우선 Windows에서 윈도 파티션 80G 정도 만들고
다시 MAC 에서 사용할 파티션 30G 를 만들어 주었다.
다시 재부팅 ...

MAC OS X 10.4.4 DVD pached 는 복잡한 과정없이
바로 부팅DVD 기능도 있어서 컴퓨터 킨다음 MAC OS X 설치로
넘어갈수 있었다.

유틸리티-디스크 관리인가 하여튼 그쪽에서 MAC 을 설치하기 위해
30G 남겨둔 파티션을 MAC 에서 사용할수 있도록 다시 파티션을 구성해준다

이제 설치 진행 ...

다 설치후 그냥 XP를 아까 80G 남겨둔곳에 설치하고
MAC 과 Windows의 멀티부팅을 설정해준다.
MAC DVD에 있는 chain0를 Windows c:/에 넣은후
시스템 파일 모두보기로 바꿔서 boot.ini 를 열어준다
젤 마지막줄에 C:\chain0="Mac OS X 10.4.4 Tiger x86"
첨가해준후 재 부팅해보면 Windows와 MAC이 멀티부팅으로
잡혀있다 ㅎㅎ
1시간 삽질끝에 MAC과 Windows 멀티부팅 성공 ㅋ

By. KS Jung

Posted by TIGER™
|




우분투 6.06 설치와 똑같은 라이브CD 상에서 install을 클릭해서 설치된다.




xubuntu의 로그인화면 ㅎㅎ
역시 우분투와 동일하다








우분투의 gnome과는 달리 xubuntu는 xfce4를 사용하므로 메뉴가 살짜기 다르다 ㅋ

Posted by TIGER™
|


한국 릴리즈 : http://ftp.kaist.ac.kr/pub/ubuntu-cd/6.06/

5.10 부터 사용하고 있다 ㅎ
Radhat Fedora core5를 서버에 깔고
Ubuntu 6.06은 내 컴에 깔아서 DB연습용으로 ...

Posted by TIGER™
|



# vi /etc/sysconfig/i18n
LANG="ko_KR.UTF-8"
SYSFONT="lat0-sun16"


=> 수정
LANG="ko_KR.eucKR"
SUPPORTED="ko_KR.UTF-8:ko_KR:ko"
SYSFONT="lat0-sun16"

UTF-8로 인해 한글이 깨지므로 eucKR로 바꾸면 된다 ㅎㅎ

Posted by TIGER™
|


▶ kldp.net 에서 나비 검색 => nabi-0.15 fedora core4 RPM 으로 설치


# vi /etc/X11/xinit/xinput.d/ko_KR 수정
XIM=nabi
XMODIFIERS="@im=nabi"
XIM_PROGRAM=/usr/bin/nabi
GTK_IM_MODULE=xim

▶ 시작 세션에 추가
데스크탑-기본설정-추가환경설정-세션-시작프로그램
[더하기] - [찾기] /usr/bin/nabi

Posted by TIGER™
|


▶ 터미널에서 xev실행
한/영 키와 한자키값을 알아냄

▶ 키값이 안나오면
# setkeycodes 71 122
# setkeycodes 72 123

▶ 다시 xev실행해서 키값 알아냄
한자 209 | 한영 210  


xmodmap -e keycode 210 = Hangul
xmodmap -e keycode 209 = Hangul_Hanja


# vi /etc/rc.local
setkeycodes 71 122
setkeycodes 72 123


# vi /etc/X11/Xmodmap
keycode 210 = Hangul
keycode 209 = Hangul_Hanja

▶ 시작 세션에 추가
데스크탑-기본설정-추가환경설정-세션-시작프로그램
[더하기] xmodmap /etc/X11/Xmodmap

Posted by TIGER™
|


윈도 설치후 리눅스를 설치하게 되면 grub이 깔리게 된다.
껐다가 키면 linux 가 젤위에 그아래 2개도 linux 관리... 이다
4번째에 windows XP가 오게 된다.

#sudo vi /boot/grub/menu.lst
default           0   (1번 운영체제 default 선택이므로 4로 바꾼다)

timeout          10  (10초안에 운영체제 선택이다)

이 두개를 바꾸면 된다 ㅋ
윈도 XP가 grub에서 5번째에 위치하면

default            4
timeout           7

Posted by TIGER™
|


#sudo vi /etc/locale.gen

...

ko_KR.EUC-KR EUC-KR
ko_KR.UTF-8 UTF-8

위의 두개를 마지막에 추가해줌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#sudo locale-gen

#sudo vi /etc/environment
LANGUAGE="ko_KR:ko_KR.euckr:ko:en_GB:en"
LANG=ko_KR.euckr

#source /etc/environment

이제 SSH로 접속해도 한글이 잘 나온다 ㅋ

>> 더 간단한 방법은 http://www.netsarang.co.kr 에서나온
Xshell2 를 이용해서 옵션부분에 UTF-8 로 바꾸면 어떤 linux에서든지
잘 보인다 ^ ^

Posted by TIGER™
|


#sudo apt-get update
#sudo apt-get install nabi
#sudo apt-get install alien   (rpm 패키지 관리)          

#cd
#vi .gnomerc
  export MODIFIERS="@im=nabi"
  export GTK_IM_MODULE=xim
을 입력후 :wq 로 종료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- apt-get으로 나비설치후 등록
(시스템-관리-세션-시작프로그램-추가 /usr/bin/nabi)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#sudo dpkg-reconfigure locales
[ko_KR.UTF-8 을 선택한다]

#sudo reboot   다시 시작
ㅋㅋ 이제 나비가 생성되어서 한글입력이 가능하다 ^ ^
다음에는 UTF-8 을 EUC_KR로 바꾸는것이다 ㅋ

Posted by TIGER™
|


관리 - 스냅틱 패키지 관리

build-essential 설치 하면 gcc... 모두 자동으로 설치 된다 ㅋ

이제 Vmware를 설치

# sudo ./vmware-install.pl

다시 cd /usr/bin 으로 간뒤

# sudo ./vmware-config.pl 을 해주면 system에 more program 폴더에

Vmware workstation 아이콘이 생기게 된다 ㅋㅋ

vmware를 실행한뒤 help에 보면 register code 에 등록키를 넣으면 끝 ^^

이미지 생성시 네트워크 선택이 나올때 두번째에 있는 NAT 선택

이제 리눅스에서 윈도가 필요할때 사용하세요 ㅋㅋ

by. Kyung Sik, Jung


Posted by TIGER™
|


suse 10.0 을 서버로 하고 XP를 클라이언트로 하는것입니다 ㅎ
lan 0 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랜선을 꼽은 랜이고
lan 1 은 XP로 연결할 카드입니다 ㅎ
공유기를 거치는것이 아니므로 다이렉트가 아닌
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해야 하구요

★ 공유설정 [제가 성공한 방법] ★

0. 랜카드 2개[lan 0 : 인터넷선,lan 1 : 공유할선] + 크로스 케이블
1. yast 들어감
2. network devices에서 네트워크 카드 선택
  → lan 0번 카드에 주소 설정 [IP주소 네임서버 게이트웨이 등]
  → lan 1번 카드에 내부 IP주소 설정 ex) 192.168.10.1
3. security and users 에서 방화벽
  -interface에서
  → lan 0번 카드는 extermal zone
  → lan 1번 카드는 internal zone
  -머스커레이딩에서
  → masquerade networks 체크
5. network services 에서 DHCP server
  → lan 1번 카드(내부용) 선택후 추가버튼 눌러줌
  → 방화벽 열기도 체크해줌
  → first name server 와 second name server는 lan 0의 원래 네임서버 적어줌
  → gateway는 내부 IP (lan 1의 IP 192.168.10.1) 
  → 완료 ㅋ
6. XP에서 자동 IP 받기 하면 그냥 됩니다 ^^

Posted by TIGER™
|


우선 vmware-5.5-linux.tar.gz 를 받은뒤
( http://www.vmware.com )
압축을 풀어준다 ㅎ
그럼 폴더가 하나 생긴다
이제 콘솔을 열어서 그 폴더로 cd 명령어를 사용해 이동해 간뒤
ls로 확인해보고 vmware-install.pl 이 있는지 확인한다
있다면 ./vmware-install.pl 을 적어주면 설치가 된다 ㅎ
대충 엔터치면서 넘어가면 되고
네트워크에서는 NAT를 해줌
다시 cd /usr/bin 으로 간뒤
./vmware-config.pl 을 해주면 system에 more program 폴더에
Vmware workstation 아이콘이 생기게 된다 ㅋㅋ
vmware를 실행한뒤 help에 보면 register code 에 등록키를 넣으면 끝 ^^
이미지 생성시 네트워크 선택이 나올때 두번째에 있는 NAT 선택
이제 리눅스에서 윈도가 필요할때 사용하세요 ㅋㅋ
여기서 만든 이미지는 VMware player [무료]에서 윈도 iso 파일처럼
바로 실행이 가능합니다 ^^
by. Kyung Sik, Jung

Posted by TIGER™
|


http://services.nexodyne.com/email/index.php

여기가면 메일 주소를 이미지로 만들어준다.

gmail/ AOL/ yahoo ... 여러개 가능 ㅋ

Posted by TIGER™
|


http://www.pdfpro.co.kr 가면 2.7 ver(개인무료) 받을수 있다 ㅎㅎ

PDF 추출 해서 각각의 페이지를 추출하면 되고

암호 물어보면 그냥 확인 하면 된다 ^^

PDF 병합을 이용해 각각페이지로된 PDF를

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주면 끝 ^ ^

이제 인쇄 가능 ㅋㅋ


Posted by TIGER™
|



귀가 예민해서 일까? 성격이 이상해서일까? -_-a

128Kb 와 196Kb 의 차이가 느껴진다 ㅠㅜ

그리고 또 하나... 음의 크기가 만드는 사람마다 다르게 셋팅되어서

소리가 작은 노래도 있고 소리가 큰 노래도 있다

Mp3 Gain을 알게 된뒤로 ㅋ 무조건 97db로 소리크기를 맞춰버려서

소리조절의 귀차니즘은 사라졌다 ㅋㅋ


Posted by TIGER™
|



네이버 툴바를 깔면 악성코드 무료치료 프로그램이 있다 ㅎㅎ
다잡아 ... 등 돈내라는 그런 악성코드 치료기는 그 자체가 악성코드라서 짜증난다 -_-;

Posted by TIGER™
|


1. python2 구문강조를울트라에디터 wordfile.txt에 추가해줌
2. 울트라에디터 고급 - 설정 - 구문강조 - 언어선택 [python 선택]
3. 고급 - 도구설정 - [삽입]
= 명령줄 : C:\Python24\python.exe %f
= 작업 : %p
= 메뉴 아이템 이름 : run python
= 현재파일저장/ 결과를 목록 상자로/ DOS 창 보이기
구문강조 파일 :

Posted by TIGER™
|